업데이트 v. 1.12.4
-
신규 파이어뱃 모델링이 추가되었습니다.

-
신규 포지 모델링이 추가되었습니다.

업데이트 v. 1.12.3
이번 핫픽스는 리플레이 되감기 시 게임이 강제종료되는 치명적인 오류를 바로잡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핫픽스는 충돌이 일어나는 지난 리플레이들을 고쳐주지는 못합니다.
- 리플레이 중 되감기 시 게임이 꺼지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옛 리플레이는 여전히 같은 증상이 일어납니다.)
- 디파일러 플레이그가 가스 구조물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관전자 모드(Gameheart) 속 중국어 및 한국어 지원이 소소하게 갱신되었습니다.
업데이트 v. 1.12.2
이번 핫픽스는 소규모 밸런스 수정을 담고 있습니다.


배틀크루저
- 배틀크루저의 체력이 700에서 65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방어력이 4에서 3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가격이 400/300에서 375/275로 감소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보급품이 5에서 6로 증가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의 시전 사거리가 13에서 12로 감소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의 투사체 사거리가 26에서 24로 감소하였습니다.
추가 테스트 이후 배틀크루저가 쓰러뜨리기에 너무 단단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스타1 배틀크루저와 스타2 전투순양함간에 차이점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체력과 더 효과적인 야마토 건의 컨셉은 그대로 두되, 그 정도를 조금 완화하기로 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야마토 건의 사거리 12는 여전히 강력하게 느껴질 것이며, 제대로 컨트롤하지 않은 스타2 폭풍함을 상대로 충분한 대응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희는 배틀크루저로 향하는 진입 장벽을 조금 더 낮추고 싶었으나, 보급품을 낮추는 것은 후반에 너무 많은 수를 축적하게 두는 악효과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보급품을 되돌려놓고 그 대신 가격을 미세하게 조정하였습니다.

드론
- 공격 주기가 1.6에서 1.5로 감소하였습니다. (아주빠름: 1.14 -> 1.07)
드론의 공격 주기는 예전에 스타2 프로토스를 상대로 한 12풀 올인의 위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증가시킨 바 있습니다. 저글링의 공격 주기가 증가한 지금 시점에, 저희는 드론의 공격 주기를 원래대로 되돌려놓고 초반 러시에 대응할 때 조금이나마 수비에 보탬이 되게 하고자 합니다.
업데이트 v. 1.12.1
이번 핫픽스는 v. 1.12를 출시한 이후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집니다.

- 오버로드의 기낭 갑피 업그레이드 이후의 이동 속도가 코어와 레거시 모드에서 올바르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1.3125 -> 2.1875 [1.837 -> 3.06]
SCEvo_Multi
모드가 외부 의존 관계 모드의 트리거 라이브러리를 덮어쓰던 오류를 해결하였습니다.
- 이제 고지대 빗나감 기능이
SCEvo_Multi
에서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
- Evo 관계 모드에서 빗나감 기능을 이용하고 싶지 않다면 트리거 창에서
SCEvo: Activate Feature
트리거 액션으로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에보 컴플리트 v. 1.12
스타크래프트 에보 컴플리트의 모든 팬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랜 시간 끝에 새로운 업데이트를 준비하였습니다.
스타크래프트2 정식 5.0.14 패치는 스타2 종족에 수많은 변화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번 1.12 버전 또한 여러 파격적인 변화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기능은 고지대 빗나감 확률입니다. 아래에 기술한 이번 업데이트는 저희의 최신 PTR 과정을 따라와주신 분들께는 익숙한 내용이겠지만, 그 외에도 추가된 사항이 몇 개 존재합니다.
이번 패치와 더불어 저희는 빠른 대전 래더 베타를 출시하였습니다. 함께 참여하여 새로운 기능을 직접 체험해보시기 바랍니다.
밸런스 수정안을 말하기에 앞서 저희는 저희의 일을 가능하게 도와주시는 저희의 너그러운 후원자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드리고자 합니다. 저희의 활동을 지원해주고 싶으시다면, 페이팔을 통한 일회성 후원이나 패트리온을 통한 정기 후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새 모델링
이번 업데이트로 저희는 새로운 구조물 모델링을 몇 개 추가하였습니다.

더불어 광물 지대의 셰이더를 갱신하였습니다.
밸런스 수정
공지: 모든 시간 관련 수치는 보통 속도 기준입니다. [아주 빠름]
아래에 기술한 변화의 상당수는 그 이유와 취지를 1.12 PTR 공지글에서 상세하게 다루었기에 여기서는 길게 언급하지 않을 것입니다. PTR에서 정식 버전으로 넘어오며 새로 발생한 변화만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이번 패치의 목표:
- 각 경기에서 나타나는 주요 유닛 간 상호작용의 양상을 조정
- 역사적으로 사용이 저조하였던 유닛의 활용 추진
- 토너먼트에서 조금 과한 성능을 내던 스타1 테란과 스타1 저그의 위력 하향
- 스타1 프로토스의 초반 빌드 획일성 완화
- (현재 테란이나 저그는 초반 빌드 선택의 여지가 적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 고지대 빗나감 확률 적용의 우려사항 완화
- 이는 스타1 저그(근거리 공격 유닛에 가장 의존적인 종족), 그리고 스타2 공중 유닛을 상대하는 스타1 종족 지상 유닛 간의 교전 상호 작용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공통 변화
- 이제 빗나감 기능이 모든 스타1, 스타2 원거리 공격을 대상으로 적용됩니다.
-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향하는 원거리 공격은 46.875% 확률로 빗나갑니다.
- 시야 차단물(부시) 내부의 유닛을 대상으로 한 원거리 공격은 46.875% 확률로 빗나갑니다.
- 다크 스웜 내부의 유닛을 대상으로 한 원거리 공격은 100% 확률로 빗나갑니다.
- 공격이 빗나갈 시 스플래시 효과 또한 상쇄됩니다.
- ‘관통’ 유형의 무기는 절대 빗나가지 않습니다.

고스트
- 이제 퍼스널 클로킹을 코버트 옵스에서 연구해야 합니다.
- 연구 비용: 100/100
- 연구 시간: 49초 [35초]
- 락다운의 시전 사거리가 10에서 9로 감소하였습니다.
위 변화는 고스트가 등장하는 시점에 달성하는 고점, 특히 로봇공학시설 위주의 병력을 운용하는 스타2 프로토스를 상대할 때의 위력을 완화합니다.
벌처
- 벌처의 이동 속도 가속도가 6.25에서 9.25로 증가하였습니다. [8.75 -> 12.95]
벌쳐는 좋은 컨트롤을 거쳐도 다소 버벅거리는 감이 있었습니다. 위 변화는 좋은 컨트롤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지도록 장려합니다.
골리앗
- 골리앗의 대지 공격 주기가 1.2375에서 1.3125로 증가하였습니다. [0.88 -> 0.94]
위 하향은 골리앗의 만능성을 약화하고 대공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굳힙니다.
레이스
- 레이스 클로킹 필드의 연구 시간이 110에서 8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79 -> 57]
- 레이스 아폴로 반응로의 연구 비용이 150/150에서 100/10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위 변화는 레이스의 은폐 활용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사이언스 베슬
- 이래디에이트의 초기 피해량이 10에서 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이래디에이트의 지속 시간이 42에서 37.5로 감소하였습니다. [30 -> 27]
기존에 이래디에이트는 시전 시 대상에 10의 초기 피해량을 가하였습니다. 이래디에이트의 피해량은 유닛끼리 서로 누적되기에, 이는 스타2 저그 병력을 상대로 지나치게 강한 모습을 발휘할 때가 많았습니다. 유닛의 행동을 스타1 때와 더욱 유사하게 맞추며 뒤따를 배틀크루저 상향안을 고려하여 사이언스 베슬은 하향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배틀크루저
주의: 변화 이전값은 1.12 PTR이 아닌 1.11 정식 버전을 따릅니다.
- 배틀크루저의 체력이 550에서 70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기본 방어력이 3에서 4로 증가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이동 속도가 2에서 1.875로 감소하였습니다. [2.8 -> 2.63]
- 배틀크루저의 보급품이 6에서 5로 감소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지상 및 공중 공격력이 25에서 27로 증가하였습니다.
- 배틀크루저의 지상 및 공중 공격 사거리가 6에서 7로 증가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 피해량이 260에서 24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 에너지 비용이 125에서 10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의 시전 사거리가 10에서 13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야마토 건 투사체의 추적 사거리가 20에서 26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위 변화는 스타1 배틀크루저에 가하는 저희의 2차 수정안으로, 1차는 PTR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배틀크루저는 오랫동안 가장 덜 사용된 유닛이었는데, 비싼 가격과 그에 못 미치는 성능 때문이었습니다. 스타2에서 스타1의 모습을 충실하게 실현하고자 하는 저희의 비전에 더하여 유저 피드백까지 논의한 결과, 배틀크루저는 느리지만 강력한 군함으로써 재탄생하였습니다.
새로운 배틀크루저는 더 강력한 올라운더 유닛이 되는 것에 더하여, 증가한 대공 사거리와 야마토 건 사거리를 바탕으로 폭풍함이나 우주모함 등의 스타2 주력함을 상대로 더 강한 대응력을 지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주력함을 상대하는 역할을 강조하기 위하여, 배틀크루저는 이동 속도가 감소하였고 이로써 차원 도약이나 대규모 소환의 부재로 인한 기동력 부족에 추가 제동사항을 걸었습니다. 야마토 건의 피해량 또한 살짝 감소하였는데, 이로써 스타2 프로토스는 초반부터 팩토리/스타포트에 집중하며 후반에 배틀크루저로 넘어가는 테란을 상대로 공허 포격기를 유효한 대응수단으로서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글링
- 저글링의 공격 주기가 0.58에서 0.6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0.41 -> 0.43]
- 아드레날린 분비선의 공격 속도 증가량이 40%에서 45%로 증가하였습니다.
저글링은 여전히 조금 과하였으며, 특히 새로 도입할 빗나감 확률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이기에 저희는 이 유닛을 하향하게 되었습니다. 아드레날린 분비선 업그레이드의 수치 조정은 업그레이드 이후의 공격 속도가 이전과 동일하도록 조정한 결과입니다.
울트라리스크
- 울트라리스크의 가격이 200/200에서 175/175로 감소하였습니다.
- 울트라리스크의 모델 크기가 증가하였습니다.
- 울트라리스크가 이제 이동 중에 아군을 밀어냅니다.
- 울트라리스크의 유닛 반경이 0.8125에서 0.875로 증가하였습니다.
울트라리스크는 가끔씩 등장함에도, 저조한 전투 성능 때문에 자주 무시당하였습니다. 이번 가격 조정은 이 점을 완화하면서, 5.0.14 패치의 스타2 울트라리스크와 일관되도록 나머지 사항을 조정하였습니다.
퀸
- 이제 인스네어를 퀸즈 네스트에서 연구해야 합니다.
- 연구 비용: 100/100
- 연구 시간: 49초 [35초]
- 인페스트 커맨드 센터 능력을 개편하였습니다:
- 이제 스타2 사령부, 궤도사령부 및 행성요새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시전 시간이 0에서 8로 증가하였습니다. [5.7]
- 재사용 대기시간이 0에서 1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7.1]
- 기술 시전이 사용자에 의하여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대상이 된 적 구조물은 더 이상 동맹의 공격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 스타1 때와 달리, 퀸은 대상 구조물 바깥에 머무르며 기술 시전동안 공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퀸 등장 타이밍은 저그의 후반 진입 시점에 매우 위협적인 고점을 제공합니다. 이번 변화는 하이브 테크의 활성화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인스네어의 도입 타이밍을 늦추고자 적용되었습니다.
이번 패치는 또한 퀸이 스타2 테란 구조물을 감염시킬 새로운 방안을 도입합니다.
인페스티드 테란
- 인페스티드 테란의 생산 시간이 38에서 33으로 감소하였습니다. [27 -> 24]
디바우러
- 디바우러의 체력이 275에서 25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이전 패치에서 디바우러의 체력 증가는 디바우러가 부동 조준 2번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습니다. 유령의 보급품이 증가하면서, 저희는 이 변화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증가량을 원복시켰습니다.

- 모든 유닛 및 건물의 실드 재생량이 0.4375에서 0.711로 증가하였습니다. [0.6125 -> 0.9954]
실드를 잃은 스타1 프로토스 유닛들은 그저 애물단지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 변화가 살짝 과할 수 있음을 인지하면서도, 저희는 스타1 프로토스가 이 작은 변화를 전투 중에 조금 더 활용하도록 기회를 주고자 합니다.
질럿
- 질럿이 공격 직후 방해받지 못하는 시간이 0.3125에서 0.28로 감소하였습니다.
- 이 시간 동안 질럿은 움직일 수 업습니다.
위 변화는 질럿의 공격이 덜 빗나가도록 도와줍니다.
드라군
- 드라군의 체력이 100에서 11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드라군의 실드량이 80에서 7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드라군 특이점 장전의 연구 시간이 175에서 15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125 -> 107]
리버
- 리버의 체력이 100에서 11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리버의 실드량이 80에서 7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리버의 무기 피해량이 105 (보호막 대상 +50)에서 100 (보호막 대상 +55)으로 바뀌었습니다.
- 리버 스캐럽 연구의 피해량 증가량이 20 (보호막 대상 +35)에서 25 (보호막 대상 +30)로 바뀌었습니다.
- 스캐럽의 이동 속도가 9에서 8로 감소하였습니다. [12.6 -> 11.2]
- 리버의 선딜레이가 0에서 0.167로 증가하였습니다. [0 -> 0.04]
- 이제 선택 시 무기 범위가 표시됩니다.
위 변화는 드라군과 리버가 분열기의 정화 폭발을 한 번 버틸 수 있게 해줍니다. 추가로, 스캐럽이 살짝 더 피하기 쉬워지도록 함으로써 리버에 대한상대 대응력을 조금 더 높였습니다.
커세어
- 커세어의 공격 사거리가 5에서 6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커세어의 방사 피해 범위 반경이 증가하였습니다:
- 100% 피해 범위: 0.17 -> 1.0834 (25% 피해 범위의 1/3)
- 50% 피해 범위: 1.65 -> 2.1667 (25% 피해 범위의 2/3)
- 커세어의 무기 피해량이 3.75 {업그레이드 당 +0.75}에서 4.5 {업그레이드 당 +0.75}로 증가하였습니다.
- 중장갑 대상 피해량이 5 {업그레이드 당 +1}에서 6 {업그레이드 당 +1}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위 변화는 커세어의 수비 능력, 특히 스타2 뮤탈리스크를 상대로 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스카웃
- 스카웃의 대지 공격력이 10(+1)에서 9(+1)로 감소하였습니다.
- 스카웃의 대지 공격 보너스가 보호막 대상 +5에서 경장갑 대상 +6으로 바뀌었습니다.
- 스카웃의 대지 공격 주기가 1.875에서 1.6875로 감소하였습니다. [1.34 -> 1.21]
스타1 프로토스의 스타2 프로토스를 상대하는 어려움은 어느 정도 해소가 되었기에, 위 변화로 스타1 프로토스의 경장갑 대응력, 특히 저글링을 상대하는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아비터
- 스테이시스 필드의 지속 시간이 46에서 30로 감소하였습니다. [33 -> 21]
- 스테이시스 필드의 시전 사거리가 9에서 8로 감소하였습니다.
- 동맹 간 제어권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리콜이 동맹 유닛 또한 대상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위 변화는 스테이시스 필드의 위력을 에보 컴플리트 속 다른 스타1 기술과 동일선 상으로 끌어옵니다.
변경점
- 스타1 SCV의 건설 중 이동 타이밍이 5.0.14 패치 내역과 동일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 이제 건설 중인 베스핀 채취소에 대기 시켜놓은 일꾼이 더 이상 노는 일꾼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 이제 주 구조물이 자동으로 집결 지점을 가장 가까운 광물 지대로 설정합니다.
- 이제 사이클론의 목표물 고정 능력이 기술로 분류되며 다크 스웜 속 유닛에게 피해를 입힙니다.
- 더 이상 디스럽션 웹이 사이클론의 목표물 고정을 비활성화하지 않습니다.
- 더 이상 인스네어가 사이클론의 목표물 고정 쿨타임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더 이상 잠복중인 유닛이 방사 피해의 중간 및 바깥 피해량 영역으로부터 면역 판정을 받지 않습니다.
- 이제 인스네어, 마엘스트롬 및 스테이시스 필드가 버로우 중인 유닛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 옵저버의 서브그룹 우선도를 낮추었습니다.
- 울트라리스크의 서브그룹 우선도를 낮추었습니다.
- 나이더스 커널이 서로 연결된 대상을 지칭하도록 새로운 시각 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 이제 스캐럽이 관전자의 생산 및 유닛 패널에 표시됩니다.
- 이제 다른 명령이 없을 경우, 리버가 정지 명령으로 발사된 스캐럽을 취소시킬 수 있습니다.
- 리버가 바닥에 찍은 공격 명령에 따라 목표를 쫓아가는 거리가 감소하였습니다.
- 다크 아콘 마인드 컨트롤의 단축키 기본값이 R에서 C로 변경되었습니다.
- 고스트 락다운의 단축키 기본값이 W에서 E로 변경되었습니다.
- 고스트 및 레이스의 클로킹 단축키가 스타2 은폐 단축키로부터 분리되었습니다.
- 스타1 버로우 단축키가 스타2 잠복 단축키로부터 분리되었습니다.
- 유닛의 업그레이드 유무를 표시해줄 패시브 버튼을 커맨드 카드(화면 하단 UI)에 추가하였습니다.
- 일부 커맨드 카드 레이아웃을 스타2에 맞게 재조정하였습니다. 이 작업은 단축키 레이아웃이 스타2나 스타1 양쪽을 플레이할 때 모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셔틀의 피격 효과 표시 범위를 조정하였습니다.
- 하이 템플러 모델링의 망토 및 신경삭이 물리 엔진을 따르도록 갱신하였습니다.
버그 픽스
- 폭발형 및 진동형 방사 피해 효과와 관련된 방어력 계산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 풍부한 간헐천 위에 건설된 어시밀레이터, 리파이너리 및 익스트랙터가 관전자 패널에 별도로 분류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나이더스 커널이 여러 동 건설되어 있을 때, 유닛이 가끔 엉뚱한 출구로 나오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나이더스 커널의 출구가 건설 중 파괴되었을 때, 입구가 함께 파괴되지 않는 버그를 수정하였습니다.
- 리버가 일부 맵에서 파괴 가능한 유닛을 대상으로 삼거나 죽이지 못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리버가 거신과 단축키를 공유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인페스티드 테란이 일부 맵에서 파괴 가능한 유닛을 대상으로 삼거나 죽이지 못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일부 유닛 및 업그레이드 점수 수치가 그 비용에 대응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스타1 히드라리스크 덴이 스타2 저그의 테크로도 적용되던 버그를 수정하였습니다.
- 버로우한 디파일러가 에너지 업그레이드를 적용받지 못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퀸의 패러사이트에 감염된 유닛이 탐지기일 경우, 탐지 능력을 공유받지 못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옵저버의 탐지 범위가 시야 범위보다 좁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10 -> 11)
- 오버로드의 탐지 범위가 시야 범위보다 좁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9 -> 10)
- 크립 콜로니로 변태 중일 때의 선택 부피를 조정하였습니다.
- 스타1 시즈 탱크의 포신이 추적 도중 유닛이 버로우할 경우 갱신이 끊기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해처리가 라바 생성 능력으로 올바르지 않은 라바 버튼을 사용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디펜시브 매트릭스와 관련된 피해 버그를 수정하였습니다.

- 더 이상 유닛들이 효율적으로 피해량을 분산시켜 공격하지 않습니다. (스타1의 오버킬 기능 도입)
- 이제 파일런이 언덕 위로도 동력장을 공급합니다.
- 이제 비공식 맵에서도 베스핀 가이저 제거 트리거가 정상 작동합니다.
- 베스핀 가이저의 자원량 수치가 맵 제작자의 조정(빠른 무한 맵 등)에 따라 5000을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가 해당 간헐천을 제거하지 않습니다.